분류 전체보기
-
Save onEnglish 2016. 2. 17. 15:22
To save on interest charges, pay your bill on time.이 경우에 "save on"이 적절하다.To save on battery power, turn off blah blah.여기에서 save 뒤에 on이 굳이 필요하지 않다.***Dim the screen to extend battery life.battery life는---위 battery power와 마찬가지로---개념(mass concept)으로서 쓰였다. 그래서 the를 동반하지 않는다. 배터리를 특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the battery's life라고 해야 할 것이다.
-
친일 독재자책을 읽거나 글을 쓰거나 2016. 2. 16. 09:00
서중석 선생님의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를 읽고 있다. 대학 1학년 때 "역사 입문"을 제외하고 선생님 강좌를 들은 적이 없다. 서양사에 더 매료되어 있었던 탓도 있지만, 한국 현대사가 주는 불편한 감정을 마주하고 싶지 않았다. 한국사에 대한 지식이 얕다는 자각과 이제 그 역사를 무덤덤하게 볼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어우러져 이 책을 선택하였다.과거 70 년 동안 이 땅에서 벌어진 일들을 설명하는 이 책의 어조가 건조하다 할 수 없지만, 시선의 객관성을 의심할 만큼은 아니다.이승만이 아니었어도 한국의 분단은 피하기 어려웠을 것 같다. 그렇다 해도 이승만과 김일성에게, 당시의 미국 정부 및 소련 정부와 함께, 분단의 가장 큰 책임이 있음을 부정할 수 없겠다. 나는 이승만이 그토록 간악한 사람인지..
-
"the"와 "mode"English 2016. 1. 22. 15:04
To exit the manual mode, click the Stop button.이 문장에서 manual mode 앞에 the를 쓰는 것은 옳지 않다. mode는 가리킴의 대상이 아니고, 따라서 다른 한정사에 의해 특정됨이 없이 그 개념 그대로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이다.문제는 구글로 찾아보면 the를 쓴 것들이 그렇지 않은 것들보다 훨씬 더 많이 보인다는 것이다. (캐나다인 친구와 미국인 동료에게 거듭 물어 내 판단이 옳음을 확인하였다.) 원어민이 아닌 (또는 못 배운?) 사람들이 쓴 글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는지 모르겠다. 더 많은 결과가 더 바람직함을 담보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구글의 검색 결과를 맹신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
choose 또는 selectEnglish 2016. 1. 10. 10:21
choose와 select 사이에서 의미상의 차이를 찾기 어렵다. 용법들을 살펴보면, 이런 경향들이 있는 것 같다. (꼭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 select는 가장 좋은, 또는 어떤 이유나 목적 때문에, 한 가지를 고른다는 의미로 많이 쓰이는 것 같다. 반면에 choose는 특별한 이유 없이, 또는 그럴 수밖에 없을 때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것은 choose이고, 보거나 처리하기 위해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것은 select이다. - 여럿 중 하나를 고르는 것은 select이고, 둘 중 하나를 고르는 것은 choose이다. 여럿 중 여럿을 고르는 것도 choose이다. - 어떤 행위나 동작을 할지 말지 결정하는 것은 choose이다. 예를 들어 select한 이미지에 ..
-
show와 displayEnglish 2015. 12. 29. 16:02
"Display" is very deliberate, you have to do something to display something. To show something, you just have to put it where it will be seen.A magpie shows her colours when she flies.A peacock displays his colours by spreading his tail and parading up and down.
-
주소 로마자 표기테크니컬 라이팅 2015. 12. 18. 14:28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3장 제5항‘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의 행정 구역 단위와 ‘가’는 각각 ‘do, si, gun, gu, eup, myeon, ri, dong, ga’로 적고, 그 앞에는 붙임표(-)를 넣는다. 붙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http://korean.go.kr/front/page/pageView.do?page_id=P000150&mn_id=99 Hodong-no가 아니라 Hodong-ro라는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