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근거 없는 자신감의 근거책을 읽거나 글을 쓰거나 2015. 6. 18. 11:50
나와 같은 일을 하는 나보다 젊은 친구들에게서 일에 대한 두려움이나 불안을 발견하기 어려웠는데, 나는 그것이 의아스러웠다. 내게는 모든 프로젝트가 버거웠고 실패할까 두려웠다. 십 년을 넘기자 겨우 자신감을 갖게 되었지만 여전히 크고 작은 부담감을 떨치지 못한다.그 젊은 친구들이 만들어낸 결과물들은 그들의 당당한 태도와는 다르게 매우 실망스러웠다. (어쩐지 되게 빨리 한다 했다.)Dunning-Kruger 효과라는 게 있단다. 그것이 이 문제에 대해 내게 답을 주었다.https://en.wikipedia.org/wiki/Dunning%E2%80%93Kruger_effect 초보자는 자신을 과대평가하고, 경험자는 다른 사람들도 자기만큼 잘 해내리라 과대평가한다. 나는 이 중 어느 쪽으로도 생각해 본 적이 없..
-
표준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테크니컬 라이팅 2015. 6. 12. 11:11
표준: 사물의 정도나 성격 따위를 알기 위한 근거나 기준.standard: a required or agreed level of quality or attainment.진시황이 최초의 표준 창시자가 아닐까 싶다.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가 "도량형을 통일했다"고 짤막하게 소개한다. 앞뒤 얘기 (이유, 목적, 결과 따위) 없이 그런 식으로 얘기하니 역사가 지루한 과목이 될 수밖에 없다. 앞뒤 얘기를 붙여보자. (이 이야기의 정확도를 장담할 수 없다.)진시황은 모든 영토를 직접 다스리기를 원했다. 그가 선발한 관리를 지방으로 내려보내 통치하게 했다. 땅이 넓고 사진기가 없으니, 그 관리가 진짜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그래서 신표를 나눠 갖게 했다. 반란에 대비하여 고속도로를 만들었다. 여차하면 바로 달려가서 ..
-
그림과 그림 제목테크니컬 라이팅 2015. 6. 9. 15:08
문서에서 그림을 가리키는 말로 Figure를 쓴다. 왜 이 말을 쓰게 되었을까? 그림을 가리키는 단어들이 여럿 있다. drawing, picture, photo, icon, image 등등. Ngram에서 살펴보니 figure가 저 말들보다 오래 전부터 더 많이 사용되었다. photo와 icon은 최근에 생겨난 말이다. 우리말의 "그림"이 좁게는 drawing을, 넓게는 2차원 이미지를 가리키니, "그림"과 "figure"가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말인 것 같다. "image"는 3차원 형상도 포함하는 더 추상적인 낱말이다.Caption은 그림에 붙이는 제목이나 간단한 설명이다. 그림 캡션을 달기가 쉽지 않다. 정면 모습인지 알아차리기 어렵다면 몰라도, 정면이라는 것이 뻔한 그림에 "정면도"라 이름붙..
-
영어 글에서 절 제목English 2015. 6. 9. 12:03
드물게 사용되는 의문문을 제외하면 절 제목에는 명사구 아니면 동명사구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에 대한 명시적인 지침을 찾기가 어려우나 그것을 규칙이나 권장으로 삼아도 무방하다. 이십여 년 전에 출판된 책들 가운데 이와 다른 방식의 제목을 사용한 것들이 없을 것이다. 아래가 그 예이다.The Roles of the Project Manager Understanding the Content Specifications최근에는 그런 제목 형식을 파괴하는 책들이 많다. 제목에 문장을, 그것도 명령문을 사용한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IBM이 그렇게 한다. 심지어 제목에 문장 스타일을 쓰라고, 대문자 쓰기를 하지 말라고 그들의 스타일 가이드에 명시했다. 아래가 그 예이다.Use technical terms cons..
-
영어 사용자들의 사고 방식English 2015. 6. 4. 19:26
항상은 아니지만 대체로 내가 영어로 작성한 글을 옆에 있는 (캐나다에서 온) 친구에게 교열하라고 시킨다. 그 친구가 고친 것들을 보노라면 사물이나 상황을 보고 인식하는 방식이 우리와 사뭇 다름을 알게 된다. 예를 들면, "연결되면 LED가 파란색으로 깜박입니다." "Pairing is successful when the status indicator flashes blue once." When 앞의 절을 뒤의 것과 바꿔놓은 것에 불과한 것처럼 보이지만 여기에는 보이는 것보다 더 큰 차이가 있다. 한국어 문장에서는 원인-결과의 구조이고, 영어 문장에서는 판단-근거의 구조이다.이래저래 문장 하나하나 쓸 때마다 자신이 없어서 그 표현이 얼마나 많이 쓰이는지 구글에서 확인하고, 그러다 보니 하루에 쓰는 양이 대..
-
status 또는 stateEnglish 2015. 5. 28. 17:09
사람에 대해 쓸 때, status는 사회적, 법적 지위나 상태를, state는 물리적, 정신적 상태를 나타낸다. 사물이나 장비 또는 그 공정에 대해 쓸 때, status는 정의된 일련의 상황이나 단계(stage 또는 phase)를 함축한다. 한 시스템이 여러 status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전환될 수 있고, 그래서 한 status를 일종의 속성으로 볼 수 있다. 반면 state는, 더 큰 맥락에서, 일반적인 상태(mode 또는 condition)를 가리킨다. 그런 상태들은 순차적으로 놓여져 있지 않으며 그 사이에서 전환이 불가능할 수 있다. This country is in irreparable state. 배터리가 warning 상태 또는 fault 상태에 있다고 말할 때, 그것은 status라기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