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니컬 라이팅
-
suspension 또는 현수테크니컬 라이팅 2018. 8. 17. 11:54
집이나 점포를 꾸며본 사람들은 이 물건을 사용했을 것이다. 천장에서 드리운 등은 매혹적이지 않은가? 그런데 이 물건을 무엇이라 일컬어야 할까. 懸垂幕은 매달아 드리운 막이라는 뜻이다. 자동차에서는 서스펜션도 많이 쓰이지만 懸架裝置도 많이 쓰이니까, 저 물건을 "현수선"이라 불러도 될 것 같은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 의미를 제대로 짐작할지 모르겠다. 종종 겪는 일이지만, 대개의 사람들이 어떤 물건에 이름을 붙일 때 그것의 영어 이름의 소리를 사용한다. 저것의 이름은 서스펜션 케이블 또는 서스펜션 와이어 이다. eyebolt는 한쪽 귀에 동그란 고리가 달린 볼트인데, 고리볼트라는 이름보다는 아이볼트라는 이름이 더 많이 사용된다. 이런 일이 일어날 때마다 어느 말을 쓸지 고민한다.
-
콘센트테크니컬 라이팅 2018. 7. 18. 14:15
"콘센트"는 영어 같다. 그런데 outlet, mains, socket 그 어느 것에도 가깝지 않다. 도대체 어디서 온 말일까? 콘센트는 일본어로 コンセント(콘센토)인데, 같은 의문을 갖고 있는 외국인들이 있다. https://japanese.stackexchange.com/questions/11013/how-did-%E3%82%B3%E3%83%B3%E3%82%BB%E3%83%B3%E3%83%88-come-to-be-used-for-outlet 이 글에 따르면 원말이 コンセントプラグ (콘센토푸라구)인데 "concentric plug"를 음역한 것이다. 여전히 의문이 가시지 않는다. concentric은 '동심' 또는 '동축'을 의미하는데 어찌 outlet을 가리키게 되었을까? 힌트를 위키백과에서 찾을 수..
-
같은 듯 다른 말테크니컬 라이팅 2018. 2. 3. 07:53
"administrator"이든 "manager"이든 한 가지 의미로만 사용할 때면 고민할 것 없이 "관리자"로 칭하면 된다. 그런데 지금은 둘 다 사용해야 한다. "관리자"와 "운영자"? 생각하다 보니 천리안 시절에 쓰이던 "시삽"이란 말이 떠오른다. 썩 적절한 말은 아니었을 것 같다. "방장" 정도가 더 적합하지 않았으려나? 미묘하게 다른 비슷한 두 가지 이상의 영어 단어들을 우리말로는 한 가지로밖에 옮길 수 없는 꽤 많은 경우가 있다. 이를테면, choose와 select. 반대의 경우도 없지 않다. 우리는 "이용하다"와 "사용하다"를 구분하여 쓴다. 이를테면, "놀이 공원을 사용한다"고 말하면 어색하게 들린다.
-
사용자 권한테크니컬 라이팅 2016. 10. 28. 16:32
A permission is a property of an object, such as a file. It says which agents are permitted to use the object, and what they are permitted to do (read it, modify it, etc.).A privilege is a property of an agent, such as a user. It lets the agent do things that are not ordinarily allowed.
-
하이픈의 위력테크니컬 라이팅 2016. 8. 19. 15:29
철자 검사 결과를 검토하던 중 이 문장을 접했다.However, many of the studies that showed increased tumor development used animals that had been genetically engineered or treated with cancercausing chemicals so as to be pre-disposed to develop cancer in the absence of RF exposure. 이 문장에서 오자는 "cancercausing"이다. "cancer causing"으로 고쳤다. 그런데 문장이 이해되지 않는다. "cancer, causing"으로 바꿔봤다. 여전히 비문이다. 의뢰인에게 차마 물어볼 수가 없어서 구글을 뒤졌다. 원..